Newsroom

비즈니스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알아보세요.

2025년 상속증여세의 변화, 감정평가 확대와 절세 전략

2025년 상속증여세의 변화, 감정평가 확대와 절세 전략

2025년부터 상속세와 증여세를 둘러싼 세금 환경이 더 어려워질 전망입니다. 최근 정부가 상속세 완화안을 발표했지만 국회에서 부결되면서, 오히려 세금 부담이 증가하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습니다. 특히 국세청의 강제 감정평가 확대로 인해 세금이 몇 배로 증가할 수 있어, 자산가들은 대응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오늘은 2025년 상속세·증여세 변화의 핵심과 앞으로의 절세 전략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가업승계와 상속세 절세 전문가인 조남철 세무사의 조언도 함께 소개하니 끝까지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상속세 완화안 부결, 무엇이 문제였나?

정부는 2024년 세법 개정안에서 상속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세율 인하와 공제 확대를 제시했습니다. 특히 상속 재산 20억 기준으로 자녀 수에 따라 상속세 부담이 줄어들 수 있었던 방안이었습니다. 하지만 여당과 야당의 갈등, 그리고 세수 부족 우려로 인해 국회에서 해당 개정안이 부결되고 말았습니다.

이로 인해 자산가와 기업 대표들은 여전히 높은 상속세율(최고 50%)과 기존 공제 혜택만을 적용받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2025년부터 달라지는 상속·증여세, 국세청 강제 감정평가 확대

상속세와 증여세의 더 큰 변화는 국세청의 감정평가 확대입니다. 기존에는 비주거용 부동산(꼬마빌딩, 상가 등)에 대해 국세청이 감정평가를 통해 세금을 부과했지만, 이제 모든 부동산으로 확대됩니다.

감정평가 적용 기준

기존: 공시가격과 시가의 차이가 10억 원 이상일 때만 감정평가 적용

변경: 5억 원 이상 차이만 나도 감정평가 실시

예를 들어, 시가가 12억 원이고 공시가격이 5억 원인 건물을 상속받으면, 기존에는 공시가격 기준으로 세금이 계산되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부터는 감정가액(12억 원) 기준으로 과세되기 때문에 세금 부담이 대폭 증가합니다.

대형 평수 아파트도 감정평가 대상 확대

기존에는 유사매매 사례가 없는 대형 평수 아파트의 경우 공시가격으로 상속세·증여세를 계산했습니다.

이제는 대형 평수도 강제로 감정평가를 통해 실제 시가를 반영하게 됩니다.

결국, 상속이나 증여를 계획하고 있는 대표님들은 앞으로 더욱 정교한 절세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상속·증여세 절세 전략, 반드시 준비해야 할 것들

사전증여 적극 활용

상속세는 돌아가시기 전 10년 이내에 증여한 재산을 합산하여 과세합니다. 하지만 미리 증여하면 그 당시의 낮은 재산가치를 기준으로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증여세 공제 한도:

-성년 자녀: 10년마다 5,000만 원

-미성년자: 10년마다 2,000만 원

-배우자: 10년마다 6억 원

증여는 시간을 두고 단계적으로 진행해야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가업승계 시 가업상속공제 적극 활용

가업승계를 준비하는 대표님들은 가업상속공제를 반드시 활용해야 합니다. 이 제도를 사용하면 최대 600억 원까지 상속세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단, 고용 유지와 지분 보유 등 엄격한 요건이 있으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준비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부동산 감정평가 대비

앞으로 국세청이 부동산 감정평가를 강제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에, 상속이나 증여를 계획 중이라면 감정평가를 사전에 준비하고 진행해야 합니다.

 

배우자 상속세 공제 활용

배우자는 최소 5억 원, 최대 30억 원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배우자가 먼저 상속세를 납부하면 나중에 자녀들에게 남겨줄 상속 재산이 줄어들기 때문에 상속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전문가와의 상담 필수

상속세와 증여세는 법적 요건과 과세 기준이 매우 복잡합니다. 특히 2025년부터 세금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미리 대비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선택입니다.

결론, 상속·증여세 폭탄 막기 위해 지금 바로 대비하세요!

2025년부터 상속세와 증여세 환경이 더 엄격해집니다. 국세청의 감정평가 확대와 기준 강화로 세금 부담이 크게 늘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전증여, 가업승계 전략, 배우자 공제 등을 잘 활용하면 절세의 길을 찾을 수 있습니다.

더 늦기 전에 전문가와 함께 상속·증여 절세 플랜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조남철 세무사와 함께라면 든든한 절세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TALA 뉴스레터 구독하기

TALA의 소식을 빠르게 접해보세요.

TALA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세요.

위로 스크롤